canvas 태그의 크기를 어떻게 맞추는 것이 좋을까?** 공통적으로 확인하기위에 검은 바탕의 canvas에 (10, 10) 위치에 10*10 크기의 흰색 정사각형을 생성한다. 최초 생성html파일에 canvas 태그만 생성하고 조정은 js파일에서 진행함canvas 자체의 크기와 canvas css의 크기는 width 300, height 150이다const canvas = document.querySelector('canvas');const ctx = canvas.getContext('2d');ctx.fillStyle = 'white';ctx.fillRect(10, 10, 20, 20); 자, 이제 화면 크기를 조정해보자 1. canvas 자체의 크기만 변경canvas 자체의 크기를 width 600..
갑자기 이 시를 찾고 싶었다. 이름이 기억나진 않았지만 예전에 [내 마음보고서]를 구입했을 때 나를 위한 시로 적혀 있었다. 왜 나에게 이 시를 알려줬는지 알 것 같다. 다시 한번 마음의 위로를 받는다. 그리고 책을 다시 보니 이때의 나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구나 하고 새록새록 기억이 난다. 역시 그때의 고민과 지금 고민은 별반 차이가 없는 거 같기도 하고..? 올해가 가기전에 한번 더 해봐야지. 시는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어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도록 블로그에 적는다. 꿈꾸는 당신마종기 내가 채워주지 못한 것을 당신은 어디서 구해 빈 터를 채우는가. 내가 덮어주지 못한 곳을 당신은 어떻게 탄탄히 메워 떨리는 오한을 이겨내는가. 헤매며 한정없이 찾고 있는 것이 얼마나 멀고 험난한 곳에 있기에 당신은 돌아..
머릿속이 복잡하고 정리를 위해 쓴 글입니다. (공부하다 정리한 내용이어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란? 도대체 데이터베이스란 뭘까???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도 몇 번 들어본 적은 있는 것 같다. 검색해 보면 찾아보면 공통적으로 나오는 부분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베이스는 구조화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조직화된 모음으로서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적으로 저장되고 데이터 관리 시스템(DBMS)에 의해 제어됨 데이터베이스는 전자적으로 저장되고 체계적인 데이터 모음이고 단어, 숫자, 이미지, 비디오 및 파일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음 데이터베이스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
나중에 까먹을 나를 위해 작성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 설치 환경 : macOS (Intel, Ventura) MySQL :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port 번호 : 3306 MariaDB : homebrew 다운로드 / port 번호 : 3307 기본적으로 MySQL은 3306 포트를 사용하고, MariaDB도 MySQL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3306 포트를 사용한다고 한다. 둘 다 동시에 설치하고 사용하려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서로 다른 포트에 연결하고,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도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여 구분하면 된다. 추가로 같은 소켓을 공유하면 에러가 나 동시 실행이 안되므로 둘 중 하나의 소켓 경로 변경도 필요하다.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냥 둘 다 설치하고 싶었..
Look again at that dot. That's here. That's home. That's us. On it everyone you love, everyone you know, everyone you ever heard of, every human who ever was, lived out their lives. The aggregate of our joy and suffering, thousands of confident religions, ideologies, and ecnomic doctrines, every hunter and forager, every hero and coward, every creator and destroyer of civilization, every king an..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